더미 호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미 호이는 1862년 태어난 미국의 전 야구 선수로, 3세 때 수막염으로 청각을 잃었다. 메이저 리그에서 세 번째 청각 장애인 선수였으며, 1888년 워싱턴 내셔널스에서 데뷔하여 1902년까지 활약했다. 통산 .288의 타율과 594개의 도루를 기록했으며, 1901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아메리칸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1951년 미국 청각 장애인 체육 협회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2003년 신시내티 레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장애인 스포츠 선수 - 시몬 바일스
시몬 바일스는 1997년생 미국의 여자 기계체조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 종합 우승 4회, 올림픽 금메달 7개를 획득했으며, ADHD를 앓고 2022년 대통령 자유 훈장을 수여받았다. - 미국의 장애인 스포츠 선수 - 짐 애벗
짐 애벗은 오른손 없이 태어났음에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10년간 투수로 활약하며 1988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뉴욕 양키스 소속으로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 강연 활동을 했다. - 오하이오주 출신 야구 선수 - 데이비드 저스티스
데이비드 저스티스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뛰어난 타격 능력으로 활약하며 신인왕, 실버 슬러거 상, 챔피언십 시리즈 MVP 등을 수상하고 두 차례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한 야구 선수이자, 은퇴 후 야구 해설가로도 활동했으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나 미첼 보고서에 언급되어 명예의 전당 입성에는 실패했다. - 오하이오주 출신 야구 선수 - 제이슨 스코비
제이슨 스코비는 뛰어난 변화구 제구력을 가진 미국 출신의 전 야구 선수로, 마이너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후 2007년 기아 타이거즈와 계약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중견수 - 켄 그리피 주니어
켄 그리피 주니어는 뛰어난 타격과 수비, 골드 글러브 수상, 홈런왕, MVP 수상, 아버지와 함께 역사적인 기록을 세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전설적인 야구 선수로, 2016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중견수 - 조 디마지오
조 디마지오는 1914년에 태어나 뉴욕 양키스에서 활약하며 3번의 MVP를 수상하고 9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거둔 미국 야구 선수이며, 56경기 연속 안타 기록을 세우고 통산 타율 0.325를 기록했으며, 배우 마릴린 먼로와 결혼 후 이혼하고 1999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미 호이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윌리엄 엘스워스 호이 |
출생일 | 1862년 5월 23일 |
출생지 | 오하이오주후크타운 |
사망일 | 1961년 12월 15일 |
사망지 | 신시내티, 오하이오주 |
포지션 | 중견수 |
타격 | 좌타 |
투구 | 우투 |
선수 경력 | |
데뷔 리그 | MLB |
데뷔 날짜 | 1888년 4월 20일 |
데뷔 팀 | 워싱턴 내셔널스 |
마지막 리그 | MLB |
마지막 날짜 | 1902년 7월 17일 |
마지막 팀 | 신시내티 레즈 |
팀 | 워싱턴 내셔널스 (1888–1889) 버펄로 바이슨스 (1890)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91) 워싱턴 세네이터스 (1892–1893) 신시내티 레즈 (1894–1897) 루이빌 커널스 (1898–1899) 시카고 화이트삭스 (1901) 신시내티 레즈 (1902) |
통계 | |
리그 | MLB |
타율 | .288 |
안타 | 2,048 |
타점 | 725 |
도루 | 596 |
수상 및 업적 | |
하이라이트 | NL 도루왕 (1888) 신시내티 레즈 명예의 전당 |
2. 생애
더미 호이는 3세 때 수막염을 앓아 청각 장애를 갖게 되었지만, 뛰어난 야구 선수로 성장했다. 오하이오 청각 장애인 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1886년 프로 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4]
1888년 내셔널 리그의 워싱턴 내셔널스에 입단하며 메이저 리그에 데뷔한 호이는, 에드 던던과 톰 린치에 이어 메이저 리그 역사상 세 번째 청각 장애인 선수였다. 선수 시절 빠른 발과 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했으며, 작은 스트라이크 존을 이용해 많은 볼넷을 얻었다. 1889년 6월 19일에는 한 경기에서 홈에서 세 명의 주자를 아웃시키는 기록을 세웠다.
플레이어스 리그의 버팔로 바이슨스,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워싱턴 세네터스, 신시내티 레즈, 루이빌 커늘스 등 여러 팀에서 활약했으며, 호너스 와그너, 프레드 클라크 등과 함께 뛰었다. 1901년 아메리칸 리그 시카고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리그 초대 우승에 기여했고, 1902년 신시내티 레즈에서 메이저 리그 선수 생활을 마감한 후 퍼시픽 코스트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 1. 초기 생애
오하이오주 호크타운에서 태어난 호이는 3세 때 수막염을 앓아 청각을 잃었다.[4] 오하이오 청각 장애인 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후, 고향에서 구두 수선점을 운영하며 주말마다 야구를 했다. 1886년 위스콘신주 오시코시에서 프로 야구 계약을 맺었다.2. 2. 선수 경력
오하이오주 호크타운에서 태어난 호이는 3살 때 수막염을 앓아 청각 장애를 갖게 되었다. 오하이오 청각 장애인 학교를 졸업한 후, 고향에서 신발 수선점을 운영하며 주말마다 야구를 즐겼다. 1886년 위스콘신주 오시코시에서 프로 야구 계약을 맺으면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호이는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를 오가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특히, 1901년 아메리칸 리그가 창설된 첫 해에는 시카고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당시 그는 40세에 가까운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타율 .294, 60타점, 그리고 리그 최다 사사구를 기록하며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1902년 신시내티 레즈에서 메이저 리그 선수 생활을 마감한 호이는, 이후 퍼시픽 코스트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 2. 1. 메이저 리그 진출
1886년 위스콘신주 오시코시 팀과 프로 계약을 맺었다. 1888년 내셔널 리그의 워싱턴 내셔널스에 입단하여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에드 던던과 토머스 린치에 이어 메이저 리그 역사상 세 번째 청각 장애인 선수였다.[4] 신인 시절 그는 리그 도루 1위를 차지했으며, 69개의 볼넷으로 2위를 기록하는 동시에 .274의 타율을 기록했다.2. 2. 2. 활약상
데뷔 첫 해인 1888년 내셔널 리그에서 82개의 도루로 1위를 기록했다.[4] 169cm의 작은 키로 인한 좁은 스트라이크 존을 활용하여 통산 .386의 높은 출루율을 기록했다. 1889년 6월 19일에는 한 경기에서 홈에서 세 명의 주자를 아웃시키는 기록을 세웠다.(이후 두 번 동률) 코니 맥이 포수를 맡아 아웃을 기록했다. 1890년 플레이어스 리그의 버팔로 바이슨스에서 코니 맥과 함께 뛰었다. 1891년에는 찰스 코미스키 감독 아래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에서 119개의 볼넷으로 리그 1위를 차지했다.내셔널 리그의 워싱턴 세네터스, 신시내티 레즈, 루이빌 커늘스 등에서 활약했다. 루이빌 커늘스에서는 호너스 와그너, 프레드 클라크와 같은 선수들과 함께 뛰었다. 1899년에는 마이크 그리핀의 메이저 리그 중견수 출장 기록(1,459경기)을 경신했다. 1901년 아메리칸 리그의 시카고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리그 초대 우승에 기여했는데, 이때 86개의 볼넷과 14개의 몸에 맞는 공으로 리그 1위를 기록했다.
1902년 신시내티 레즈에서 메이저 리그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같은 해 5월에는 뉴욕 자이언츠의 투수 더미 테일러를 상대로 타석에 들어섰는데, 이는 메이저 리그에서 청각 장애인 선수 간의 첫 대결이었다. 호이는 이 경기에서 두 개의 안타를 기록했다. 1903년에는 퍼시픽 코스트 리그의 로스앤젤레스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은퇴 당시 호이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타율 | 안타 | 득점 | 타점 | 2루타 | 3루타 | 홈런 | 도루 |
---|---|---|---|---|---|---|---|
.288 | 2,048 | 1,429 | 725 | 248 | 121 | 40 | 596 (1888~1897: 488개, 1898년 이후: 108개) |
2. 2. 3. 기록
통산 1796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288, 2048안타, 1429득점, 725타점, 596도루를 기록했다. 은퇴 당시 외야수 통산 풋아웃과 총 기회 기록은 역대 2위였다.[4] 제시 버켓은 1905년에 그의 MLB 통산 풋아웃 기록을 깼고, 클라크는 1909년에 그의 통산 총 기회 기록을 넘어섰다. 트리스 스피커는 1920년에 그의 중견수 통산 출장 기록을 깼다.[16]
2. 3. 은퇴 후
은퇴 후, 호이는 오하이오주 마운트 헬시에서 낙농장을 운영했다.[4] 그는 굿이어 타이어 앤 러버 컴퍼니의 임원으로 일하며 청각 장애인 근로자들을 감독하기도 했다.[4] 1951년에는 미국 청각 장애인 체육 협회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1961년, 호이는 99세의 나이로 1961년 월드 시리즈(신시내티 레즈 대 뉴욕 양키스) 3차전에서 시구를 했다.[4] 당시 그는 메이저 리그 최고령 생존 선수였다.[4] 같은 해 12월, 그는 신시내티에서 사망했다.[4]
2003년, 호이는 신시내티 레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3. 심판 수신호와의 관계
더미 호이 시대에는 "dumb"이라는 단어가 말을 할 수 없는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호이는 삑삑거리는 소리로 말을 할 수 있었고,[5] 당시 가장 지적인 선수 중 하나로 여겨졌다.[6]
심판이 사용하는 수신호 개발에 호이가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 사이 리그가 마이너 리그에서 볼과 스트라이크에 대한 신호를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1886년 11월 6일자 ''The Sporting News''에는 청각 장애인 투수 에드 던던이 1886년 10월 20일 앨라배마주 모빌에서 열린 경기에서 수신호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빌 클렘은 20세기 초에 메이저 리그에 이 신호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호이 자신이 수신호 개발에 기여했다고 주장한 적은 없다. 하지만, 진보 진영 일각에서는 호이가 신호 사용에 모종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을 제기한다.[6]
4. 유산 및 평가
갤러데트 대학교의 야구장은 년에 윌리엄 "더미" 호이 야구장으로 명명되었다.[10] 그는 년에 신시내티 레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2004년에는 야구 유물관의 영원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0]
윌리엄 "더미" 호이 클래식은 뉴욕주 로체스터 농아 인식 주간 동안 격년으로 열리는 야구 경기로, 제네시 컨트리 빌리지 앤 뮤지엄의 19세기 야구장을 재현하여 로체스터 농아 레크리에이션 클럽과 뉴욕주 버팔로 농아 클럽 회원 간에 치러진다.[11]
2008년, 다큐멘터리 채널에서는 전기 영화 ''더미 호이: 청각 장애 영웅''(일명: ''나는 군중의 함성을 듣는다'')을 방영했다. 호이의 사진과 배우들을 사용하여 특정 사건을 재현한 이 다큐멘터리는 호이의 삶의 하이라이트와 야구에 대한 그의 공헌을 기록했으며, 호이는 라이언 레인이 연기했다.[12]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으로는 빌 와이즈의 ''침묵의 별: 청각 장애 메이저 리거 윌리엄 호이 이야기''(2012), 낸시 처닌의 ''윌리엄 호이 이야기: 청각 장애 야구 선수가 어떻게 게임을 바꿨는가''(2016)[13], 카우샤이와 스펜서 포드의 ''잘 알려지지 않은 영웅들: 윌리엄 '더미' 호이''(2021)[14] 등이 출판되었다.
2019년 제한 개봉 영화 ''사일런트 내추럴''은 실제 청각 장애인인 마일스 바비가 연기한 호이의 이야기를 다룬다.[15]
참조
[1]
문서
Sandy and Miller, p. 48.
[2]
문서
Gould, pp 127–9 refutes this.
[3]
서적
Deaf Heritage–A Narrative History of Deaf America
http://saveourdeafsc[...]
National Association of the Deaf
1981
[4]
문서
Sandy and Miller, p. 50.
[5]
뉴스
Buffalo Morning Express
1890-04-13
[6]
문서
Sandy and Miller, p. 49.
[7]
뉴스
Reds Bow in Ninth
https://timesmachine[...]
2020-09-12
[8]
문서
Sandy and Miller, p. 53.
[9]
뉴스
Reds Bow in Ninth
https://timesmachine[...]
2020-09-12
[10]
웹사이트
Shrine of the Eternals – Inductees
http://www.baseballr[...]
2019-08-14
[11]
뉴스
Playing a game to honor a baseball legend
http://www.democrata[...]
2012-09-19
[12]
웹사이트
Crew films documentary on 19th century deaf baseball player 'Dummy' Hoy
http://www.courierpr[...]
2008-10-19
[13]
웹사이트
The William Hoy Story
https://www.albertwh[...]
[14]
웹사이트
William 'Dummy' Hoy (Hard Cover)
https://thelittlekno[...]
2021-02-26
[15]
웹사이트
The Silent Natural (2019) - IMDb
https://www.imdb.com[...]
[16]
문서
통산成績等について資料間で一部数値が異なっている。
[17]
문서
Sandy and Miller, p. 48.
[18]
문서
Gould, pp 127–9 refutes this.
[19]
서적
Deaf Heritage–A Narrative History of Deaf America
http://saveourdeafsc[...]
National Association of the Deaf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